한동대학교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제개발협력의 과제와 전망
본문 바로가기
  • 더 나은 개발협력을 위한 연구/평가/자문/강의
강의&워크숍

한동대학교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제개발협력의 과제와 전망

by 맘보싸와싸와 강도욱 2021. 3. 12.

한동대학교에서 주최하여 진행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제개발협력의 과제' 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하였습니다. 너무나 짧은 시간이 주어져 하고 싶은 애기를 다하지 못한 것이 아쉽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제개발협력에 관해 논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마치 Expect the unexpected 라는 말처럼 예측할수 없는 것을 예측해 내야 하는 어려운 일입니다. 코로나 자체를 예상하지 못하여 우왕좌왕 하던 코로나 초기를 생각해 보면 이러한 예측이 얼마나 실용적인 것인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환경의 큰 변화는 때로 우리를 혁신하고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SDGs 달성에 빨간불이 들어왔고 (실제 많은 지표들이 계획대비 미달성), 세계은행의 발표에 다르면 지난 20년간 처음으로 빈곤층이 늘어났습니다. EDFI 조사에서는 아프리카에만 일자리가 2,000만 개가 사라질 위기라 발표하기도 하였습니다. 자국민 중심의 예산 사용도 큰 이슈가 될 것입니다.

몇 가지만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공여국-수원국-수혜자의 디지털 연결은 강화될 것입니다.

2. 전 세계 ODA 총 액수가 줄어들 가능성이 큽니다.

3. 학교등 셧아웃 등으로 상대적으로 가난한 학생들의 학교 복귀에 어려움을 가중 시킬것입니다. (조혼, 10대 임신, 교사 실직 등)

4. 민간 부분은 더 중요하게 될 것입니다. 2번과 연결하여 민간 재원을 발굴하는 것은 매우 매우 중요해 질것으로 보입니다.

5. 지역의 역량 강화가 중요해 짐으로 지역개발모델이 굉장히 강조될 것입니다.

6. 현지 지역의 인재가 현지의 문제를 인식하여 해결하는 현지의 혁신가들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될 것입니다.

7.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며 보다 지속적인 방식의 솔루션을 제공해주는 사회적경제가 더 강조될 것입니다. 이것 또한 5,6번과 비슷한 내용으로 현장 중심, 현지 역량 중심의 접근이 매우 중요할 것입니다.

8. 국가주의는 강조되어 고립주의가 대두될 가능성도 큽니다.

9. 전통적 남-북의 원조 형태는 상당히 희석될 것입니다.

10. 원조 전달 방식의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프로젝트 -> 프로그램, 직접->간접 등 많은 것들이 가능합니다.

대략적으로 이렇게 정리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국제개발협력 생태계에서 일하는 한 사람으로서 향후 어떻게 상황이 전개될지 또 내가 할 수 있는 역할은 무엇인지 고민해 봅니다. 모두 화이팅입니다!!!!

- 강도욱 드림 - 


TOP

사업자번호: 785-87-01964 / 연락처: admin@mambosawasaw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