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욱대표16 코이카 민관협력사업 보건 분야 심사_ 맘보싸와싸와 강도욱 대표 올해도 코이카 민관협력사업 보건 분야 심사에 참가하였습니다. 지난 몇 년간 서면 심사에는 거의 매년 참여하였고 대면 심사는 참석하지 못한 해도 있었는데 금년에는 다행히 일정이 맞아 서면 심사와 대면 심사를 모두 참석할 수 있었습니다. 누구보다 시민사회(개발 ngo, 대학 및 연구기관) 기관에 관심과 애정이 많기에 조금이라도 좋은 사업들이 발굴되고 기관에 좋은 피드백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수년간 시민사회의 역량강화를 위해 실무자 교육, 기관 컨설팅 등을 해왔기에 실제 역량이 어떻게 강화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였습니다. 여러 훌륭한 교수님, 박사님, 코이카 실장님들과 함께 좋은 사업들이 발굴될 수 있도록 심사하였고 과정에서의 공정성을 유지하였습니다. 아래는 .. 2022. 10. 26. KOICA 코이카 직원 PDM 작성 교육 _ 맘보싸와싸와 강도욱 대표 KOICA 강의 배경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대한민국 대외 무상 ODA 사업을 주관하는 외교부 산하 준정부 기관입니다. KOICA 인사 교육팀에서 코이카 1~3년차 직원 역량 강화를 위해 PDM 작성 교육을 요청해 오셨습니다. KOICA의 전반적인 사업 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구성원 한명 한명의 역량이 현재로서는 매우 중요합니다. 사업에서 압도적인 역량을 가지고 있어야지 용역기관, 협력기관등과 협력하는 것이 훨씬 더 원할할 수 있을 것이기에 개인저으로 이러한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었습니다. 또한 KOICA의 역량 향상이 대한민국 무상 ODA의 역량 향상으로 연결된다고 판단하기에 제가 만약 의사결정자이면 매우 많은 시간과 자원을 KOICA 구성원을 위해 사용할 것 같습니다. 장기적으로는 개개인의.. 2022. 9. 25. 통일부 남북 평화 토론 패널 참석 _ 맘보싸와싸와 강도욱 역사속의 한순간(?) 증명사진 너무 웃겨요ㅜㅜ🤗 남북관계의 냉정한 현실 속에서도 한반도 평화 번영을 꿈꾸는 ‘한반도 국제평화포럼’ 현장에 저도 있었네요. 🙂 개발협력과 사회적경제는 남북협력에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요?!? 함께 하셨던 교수님, 원장님 그리고 하나누리 재단을 비롯한 여러 단체까지 많은 이들의 노력과 식견에 큰 도전과 배움을 얻었습니다.🙂 남북협력, 개발협력 그리고 사회적경제의 연결지점에 제가 있었다는게 감사하네요!! 증명 사진은 꼭 다시 찍는걸로~ 맘보싸와싸와 🔥🔥🔥 2020. 9. 25. KCOC 하다 프로젝트 심사 및 멘토링_ 맘보싸와싸와 강도욱 대표 “해봐야 알지요~.” (일명 JFDI정신: Just Fxxxxxx do it) KCOC ‘하다’ 공모 사업에 심사로 참여하고 멘토링을 진행하였습니다. 참여하신 모든 분들께 박수를 보내드립니다. 아쉽게 선정되지 못한 팀에게는 정말 위로를 드립니다. 👏👏🏻👏🏾 대학원때 정말 닮고 싶은 멋진 교수님이 계셨는데 이 교수님은 창업 아이디어나 비즈니스 모델을 평가하실때 여러 날카로운 질문들을 하시다가도 마지막은 항상 그래도 ‘해봐야 알지요’ 이렇게 마무리 하곤 하셨습니다. 평범한 말이지만 생각해볼수록 참으로 멋진 말입니다. ❤️ 해보기 전에는 누구도 모른다는 겸손의 애기이기도 하고 생각은 누구나 할수 있지만 행동은 어렵다는 애기일수도 있고 완벽하게 기획하고 진행하려는 고착된 사고를 버리고 빠른 실행과 가설 검증을 .. 2020. 8. 19. 코이카 리턴 프로그램 사회적 경제 강의_ 맘보싸와싸와 강도욱 대표 “모두모두 힘내자구요!”🙂 코웍스 초청으로 ‘코이카 리턴 프로젝트’에서 ‘사회적 경제의 이해’라는 주제로 짧은 강의를 하였습니다. 토요일 오전 시간이고 조금 지루할수 있는 주제라 걱정했는데 참석자 분들이 모두 경청해 주셔서 정말 감사했습니다. ❤️ 프로젝트 착수 전 사회적 경제의 배경, 발전과정, 가치 및 의의 등을 되돌아 보며 큰 방향성을 점검해 보시는 기회가 되었기를 간절히 바래봅니다.😀 그 동안 개발협력 생태계는 국제이슈와 국내이슈를 적극적으로 연결하지 못했고 이로인해 개발협력은 일반 대중의 삶과 다소 동떨어진 애기가 된 부분이 있습니다.😭 사람을 소중하게 여긴다고 했지만 정작 사람를 길러내지 못했다는 자기 반성의 목소리도 많습니다.😭 리턴 프로젝트를 통해 국제이슈와 국내 이슈가 연결되고 해외 현장.. 2020. 8. 6. 포스트잇으로 해보는 주간 개발협력? 맘보싸와싸와 강도욱 대표 “포스트잇도 모이니 자산이 된다.감동!!”🔥 워크숍 첫째날 ‘질문’ 적힌 포스트잇이 어림잡아 100장 이상 쌓였습니다. 강의가 끝나고 한 친구가 다가와 본인이 키워드별로 분류해서 주겠다고 합니다.🙂 다음날 노란색 공책 한권을 제게 선물합니다. 공책에는 개발협력 가치/일자리/분야/그랜트/사업개발/평가/결혼(?) 등 주요 키워드로 깔끔하게 분류된 포스트잇들이 가지런히 붙어 있습니다. 현장의 살아있는 질문이 사장되지 않고 책으로 재탄생 한것 같아 감동 받았습니다. 최고!!!❤️ 돌아보니 지난 강의나 워크숍을 할 때 포스트잇을 사용하면 최대한 모아 두고 사진을 찍어 기록해왔습니다. 개발협력 실무자, 취업준비자, 봉사단, 전문가, 공무원등 개발협력 생태계 다양한 플레이어들의 현장의 살아있는 질문들이니 참으로 가치.. 2020. 8. 6.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