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기구4 국제기구 협력사업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_맘보싸와싸와 강도욱 KCOC에서 '국제기구 협력사업 엑설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1차년도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준비단계에만 참여하고 본 과정에는 참여하지 않고 2차년도는 컨설턴트로서 참여하였습니다. 제가 맡은 부분은 1) 개발 ngo들의 전략 수립 컨설팅, 2)집중워크숍과 아카데미에서 역량강화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었습니다. 많은 수의 개발 NGO들의 전략이 부재한 상황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해 오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자원의 사용, 인력의 관리 등이 미숙하며 즉흥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기본적인 전략 수립을 위한 환경분석, 내부 분석 등을 진행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국제기구 협력을 위한 전략과 기관 전체 전략등을 수립해 보았습니다. 강의는 총 5회 진행하였는데 다자성양자 사업의 특징과 추진 체계 및 개발 ngo들.. 2022. 8. 18. 코이카 모잠비크 UNICEF 기획조사 참여 코이카 모잠비크 UNICEF 기획조사에 참여하였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제한된 상황에서도 높은 책무성을 가지고 일하시는 부소장님이 참으로 멋져 보였습니다. 몇 가지 생각 공유. - 지금의 PCM이 맞는 것일까? 예비조사는 사업 실행 2년전, 심층기획 조사는 1년전에 보통 이루어집니다. 몇 개월만 지나도 현장 수요가 바뀔텐데 과연 이러한 Project Cycle이 최선인지 물어 보게 됩니다. - 이러한 프로젝트 주기에도 예비조사를 복사하는 수준의 기획조사를 볼 때도 있고 반대로 예비조사 당시의 상황과 산출물들을 싸그리 무시하고 '나는 전문가다'라는 높은 자존으로 완전히 다른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 PCP, 예비조사에서 통과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시간과 인력에 대한 매몰 비용도 결.. 2021. 4. 6. 코이카 말라위 UNFPA 심층기획 조사(2020) SAFE SPACE MODEL (출처:UNFPA) 작년 코이카 말라위 UNFPA 심층기획 조사에 참가하였습니다. 코이카 통해 국제기구협력 사업 예비/기획 조사 외부 전문가로 여러차례 참여해 본적이 있어 별로 낯설지 않았습니다. 금번 조사를 마치며 그 동안 국제기구협력 사업에 대해 느꼈던 점을 조금 정리해 볼 필요가 있어 두서 없이 몇 자 적어 봅니다. :) 1. 때때로 국제기구도 현장을 잘 모른다. - 국제기구는 양자기관이나 여러 foundation을 통해서 funding을 받은 후 대부분 실제 현장 사업 수행은 현장의 local / internation NGOs, FBO(Faith Based Organization), 현지정부, 대학 등에 맡기게 됩니다. 이러한 IPs(Implementation.. 2021. 4. 6. 코이카 국제개발 전문봉사단 프로젝트 사이클 관리 교육 201910 “한 분 한 분 너무나 소중하십니다. 응원해 주세요.” 코웍스에서 초대해 주셔서 WHO, WFP 등 9개국 13개 국제기구 및 INGO로 파견 가시는 ‘KOICA 국제개발 전문봉사단’을 대상으로 ‘프로젝트사이클 관리’ 워크숍을 진행하였습니다. 다들 얼마나 많은 경험과 지식을 가지고 계신지 제가 더 많이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국제기구나 INGO의 규모와 업력에 따른 전문성 등 장점 뿐 아니라 여러 개선점(높은 core cost, 고용 불안정(계약직)에 따른 이슈, 현장 반영이 덜된 프로토타입형 사업, 무거운 조직계층 등)에 대해서도 많이 고민해 보시고 앞으로 생태계 발전을 위해 많이 나누어 주세요. 👏👏 좋은 경험과 지혜를 가진 동료, 슈퍼바이저와 멘토를 만나시기를.... 배우겠다는 마음을 넘어 적극적.. 2020. 6.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