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벤처'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 더 나은 개발협력을 위한 연구/평가/자문/강의

소셜벤처13

농촌진흥청 KOPIA 해외 사무소 소장 파견 전 ODA사업 성과관리 교육_맘보싸와싸와 강도욱 전주에 위치한 농촌진흥촌(KOPIA) 해외 사무소에 파견될 소장님들을 대상으로 개발협력 프로젝트 / 성과관리 주제로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현지 사무소가 큰 규모가 아니기에 사실상 현지에서 KOPIA의 역량은 파견된 소장님의 역량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요? 이해관계자를 잘 메니지먼트 하는 역량, 사업 수요를 발굴하고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성과관리 하는 역량, 인사노무관리 역량 또 무엇보다 현지 주민들을 잘 공감하고 현지 여러 player들과 파트너십을 맺을 줄 아는 그런 역량도 필요할 것입니다. 수십년간 현업에서 일했던 전문가님들로서 여러 좋은 의견도 주시고 질문을 주셔서 너무나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지난 수년간 정말 많은 분들을 만나 배움을 확산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참으.. 2021. 4. 6.
코이카 모잠비크 UNICEF 기획조사 참여 코이카 모잠비크 UNICEF 기획조사에 참여하였습니다. 코로나로 인한 제한된 상황에서도 높은 책무성을 가지고 일하시는 부소장님이 참으로 멋져 보였습니다. ​ 몇 가지 생각 공유. - 지금의 PCM이 맞는 것일까? 예비조사는 사업 실행 2년전, 심층기획 조사는 1년전에 보통 이루어집니다. 몇 개월만 지나도 현장 수요가 바뀔텐데 과연 이러한 Project Cycle이 최선인지 물어 보게 됩니다. - 이러한 프로젝트 주기에도 예비조사를 복사하는 수준의 기획조사를 볼 때도 있고 반대로 예비조사 당시의 상황과 산출물들을 싸그리 무시하고 '나는 전문가다'라는 높은 자존으로 완전히 다른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 PCP, 예비조사에서 통과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시간과 인력에 대한 매몰 비용도 결.. 2021. 4. 6.
코이카 말라위 UNFPA 심층기획 조사(2020) SAFE SPACE MODEL (출처:UNFPA) ​ 작년 코이카 말라위 UNFPA 심층기획 조사에 참가하였습니다. 코이카 통해 국제기구협력 사업 예비/기획 조사 외부 전문가로 여러차례 참여해 본적이 있어 별로 낯설지 않았습니다. 금번 조사를 마치며 그 동안 국제기구협력 사업에 대해 느꼈던 점을 조금 정리해 볼 필요가 있어 두서 없이 몇 자 적어 봅니다. :) ​ 1. 때때로 국제기구도 현장을 잘 모른다. - 국제기구는 양자기관이나 여러 foundation을 통해서 funding을 받은 후 대부분 실제 현장 사업 수행은 현장의 local / internation NGOs, FBO(Faith Based Organization), 현지정부, 대학 등에 맡기게 됩니다. 이러한 IPs(Implementation.. 2021. 4. 6.
코이카 리턴 프로그램 사회적 경제 강의_ 맘보싸와싸와 강도욱 대표 “모두모두 힘내자구요!”🙂 코웍스 초청으로 ‘코이카 리턴 프로젝트’에서 ‘사회적 경제의 이해’라는 주제로 짧은 강의를 하였습니다. 토요일 오전 시간이고 조금 지루할수 있는 주제라 걱정했는데 참석자 분들이 모두 경청해 주셔서 정말 감사했습니다. ❤️ 프로젝트 착수 전 사회적 경제의 배경, 발전과정, 가치 및 의의 등을 되돌아 보며 큰 방향성을 점검해 보시는 기회가 되었기를 간절히 바래봅니다.😀 그 동안 개발협력 생태계는 국제이슈와 국내이슈를 적극적으로 연결하지 못했고 이로인해 개발협력은 일반 대중의 삶과 다소 동떨어진 애기가 된 부분이 있습니다.😭 사람을 소중하게 여긴다고 했지만 정작 사람를 길러내지 못했다는 자기 반성의 목소리도 많습니다.😭 리턴 프로젝트를 통해 국제이슈와 국내 이슈가 연결되고 해외 현장.. 2020. 8. 6.
아프리카인사이트 사회적경제 강의 201908 ‘로치데일 공정선구자조합 부터 아프리카 헬스케어 혁신 mPharma 까지’... 아프리카인사이트를 통해 아프리카 국제개발협력의 사회적경제, 사회혁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수 있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들은 ‘농업생산성 지체’, ‘산업화 없는 도시화’, ‘도시 슬럼화’, ‘환경재해 취약성’ 등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겪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와 시장 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공유지의 비극’이 항상 존재하기에 문제 해결에서 지역사회공동체(community)의 역할과 협력은 매우 중요합니다. 전통적 협동조합부터 기술기반 소셜벤처에 이르기까지 아프리카 내 다양한 사례들을 나누며 배움을 얻고자 하였습니다.🔥🔥 지금도 한해에 몇번은 아프리카에 다녀 오지만.. 2020. 6. 20.
국제개발협력에서 사회적경제 1일 강의 20190625 국제개발협력에서 사회적경제의 의의와 역할은 무엇일까요? 🤗 ‘국제개발 사회적 경제로 이어가기’ 라는 주제로 kcoc 초대를 받아 지난 25일 하루 종일 강의 및 발표를 하였습니다. 오전/오후는 개발협력에서 사회적경제 개념을 시작으로 린스타트업 방식 문제해결 소개 및 실습을 하였고, 저녁에는 소셜벤처 사례 발표 및 토크 콘서트를 통해 좋은 분들과 소통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익숙하고 관성적인 사업과 모금방식에 ‘고착’ 되면 변화와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개발협력 ngo가 사회적 경제(크게는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현장의 문제에 따라 어떤 전략으로 접근할지 치열하지만 짧게(?) ‘생각’하시고 간결하고 빠르게 움직여 보시기를 응원드립니다. 🐥👊 주어진 context와 상황에 따라 비즈니스의 확장.. 2020. 6. 20.

TOP

사업자번호: 785-87-01964 / 연락처: admin@mambosawasaw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