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M94 2022년 코이카 모니터링 및 평가 강의 _ 맘보싸와싸와 강도욱 대표 코이카 ODA 교육원 모니터링 평가 강의 2022년에도 코이카 ODA 교육원 초청으로 모니터링 및 평가 강의를 진행하였습니다. ODA 교육원에서는 이 과정을 심화 과정으로 분류하고 수년간 교육을 진행해 오고 있습니다. 8월에 진행된 교육은 직장인을 배려해서 금요일과 토요일을 활용해서 2주에 걸쳐 2박 3일로 진행하였습니다. 아래는 주요 교육 내용입니다. 최대한 실습을 통해 자가 학습이 가능하도록 노력하였습니다. - 모니터링 및 평가 개요 - Results 및 변화이론 - 모니터링을 위해 필요한 조사도구(설문, 인터뷰, 초점그룹 토론 등) - 코이카 성과관리 프로세스 - 평가 방법 및 수행 프로세스 코이카 ODA 교육원에서 진행한 교육이다 보니 기본적인 양자 사업을 예시로 해서 강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코이.. 2022. 10. 7. 2022년 하반기 행안부 지자체 ODA 역량강화 기본/심화 과정_ 맘보싸와싸와 강도욱 대표 지자체 ODA 정부 부처 및 산하 42개의 기관에서 ODA 사업을 수행 중에 있습니다. 이러한 정부 기관 외에도 지자체에서도 ODA를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 아시고 계셨나요? 서울, 경기도 등 예산 규모가 큰 지자체의 경우 ODA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고 여러가지 사업들을 몇년간 추진해 왔습니다. 다른 많은 지자체에도 실제 ODA 사업을 해오고 있고 보고 누락 등 여러 가지 이유로 ODA 통계상에 잡히지 않는 국제교류 형태의 사업도 오랜 시간 추진해 왔습니다. 코이카와 같은 ODA 전문 수행 기관이 아닌 이상 많은 ODA 수행기관들이 예산 규모가 그리 크지 않기에 전략 수립, 담당 실무자의 역량강화 등에 예산을 투입하여 전문화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지자체에도 다양한 자원을 가지고 있고 오랫동안 친선 도시등.. 2022. 10. 7. KOICA 코이카 직원 PDM 작성 교육 _ 맘보싸와싸와 강도욱 대표 KOICA 강의 배경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대한민국 대외 무상 ODA 사업을 주관하는 외교부 산하 준정부 기관입니다. KOICA 인사 교육팀에서 코이카 1~3년차 직원 역량 강화를 위해 PDM 작성 교육을 요청해 오셨습니다. KOICA의 전반적인 사업 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구성원 한명 한명의 역량이 현재로서는 매우 중요합니다. 사업에서 압도적인 역량을 가지고 있어야지 용역기관, 협력기관등과 협력하는 것이 훨씬 더 원할할 수 있을 것이기에 개인저으로 이러한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었습니다. 또한 KOICA의 역량 향상이 대한민국 무상 ODA의 역량 향상으로 연결된다고 판단하기에 제가 만약 의사결정자이면 매우 많은 시간과 자원을 KOICA 구성원을 위해 사용할 것 같습니다. 장기적으로는 개개인의.. 2022. 9. 25. 코웍스(KOWORKS) 직원 PCP, PDM 작성 교육 _ 맘보싸와싸와 강도욱 대표 코웍스 기관 코웍스는 대한민국 개발협력 대표기관 KOICA의 파트너 자회사입니다. 임직원이 320명 정도되니 개발협력을 하는 전문 기관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큰 기관이라 할 수 있습니다. PCP, PDM 교육 1박 2일 일정으로 사업 담당자님 20명을 대상으로 PCP와 PDM 작성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영월 사업소는 zoom 연결) 대한민국 ODA의 프로젝트 사이클 첫 단계로 현지 정부로 부터 대사관 또는 KOICA를 통해 PCP를 접수하게 됩니다. PCP(Project Concept Paper) 개발은 협력국에서 진행하게 되는데 이는 협력국이 우선적으로 가장 필요한 사업을 발굴하는 주인의식을 고려한 프로세스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PCP 개발을 어려워 하는 협력국 여러 기관들이 있기에 PC.. 2022. 9. 8. 농업진흥청 농업 ODA 전문가 양성 교육 _ 맘보싸와싸와 강도욱 대표 농진청 KOPIA 전문가 양성 교육 2박 3일간 온라인을 통해서 23명의 농진청 여러 구성원들 모시고 ODA 전문가 양성 교육 과정을 진행하였습니다. (주)맘보싸와싸와에서 교육 용역을 받아 진행하였습니다. 농촌진흥청은 한국의 오래발전된 농업기술을 필요로 하는 개도국과 함께 현지에 맞는 농업기술을 개발, 보급하고 있습니다. 2009년에 해외농입기술개발사업(KOPIA)을 시작하여 지금까지 진행해 오고 있고 현재 22개국(아시아 8개국, 아프리카 7개국, 중남미 5개국, 중앙아시아 2개국)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에는 정부산하 부처 및 유관기관 42개가 ODA를 하고 있고 농진청은 예산이 높은 편에 속합니다. 더군다나 현지 사무소를 통해 한국 직원을 상주 시키고 있기에 앞으로 더 발전이 기대됩니다... 2022. 9. 8. 코이카 민간협력 인도적지원 사업 성과관리 강의_맘보싸와싸와 강도욱 ‘인도적 지원 사업 성과관리’ 전반기에 코이카 인도적지원 민관협력 사업 실무자님들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 인도적지원전략을 고려할 때 실무자 역량 강화, 전문가 양성과 사업수행 개발ngo의 역량 강화등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고 이를 위해 코이카와 kcoc에서 컨설팅, 교육, 가이드라인 제공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계십니다. 🙂 인도적 지원의 일반적 모니터링평가는 역동적인 인도적 지원 환경에서 너무 정적이고, real-time에 대한 정보가 아닌 지나치게 과거 정보만을 재공합니다. 또한 계획된 결과를 측정하기에 예측 불가의 인도적 지원 환경(DRR과 같은 정적인 사업 제외)과 맞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기본 성과관리 방법과 함께 대안으로 쓸수 있는 real-time 평가, outcome harves.. 2022. 8. 14. 이전 1 2 3 4 ··· 16 다음